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ugust 2020. 303-310
https://doi.org/10.7732/kjpr.2020.33.4.303

ABSTRACT


MAIN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공시재료

  •   종자번식

  •   삽목번식

  •   통계처리

  • 결과 및 고찰

  •   종자번식

  •   삽목번식

  • 적요

서언

생물다양성 협약(CBD)이 1993년 발효되어 생물자원의 주권적 권리에 대한 인식이 늘어남에 따라 자국의 생물자원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향후 50년 이내에 지구 상에서 자라고 있는 25만 종의 관속식물 중 약 20%가 멸종될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Falk and Olwell, 1992; Kim et al., 2002; Lee et al., 2011). 이에 생물다양성을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는 보전전략 및 생물종의 증식과 자생지의 특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Kim, 2007; Naeem et al., 1994; USAID, 1992; Wolfe, 1987; Yeoung et al., 2001), 생물다양성 협약서 제8조에는 자생지 보전(in situ conservation)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Lee et al., 2011).

팥꽃나무과(Thymelaceae)는 세계적으로 약60속 800여 종이 분포하며(Kim, 2009), Domke (1934)는 세계적으로 팥꽃나무과를 4개의 아과(Gonystyloideae, Aquilarioideae, Synandrodaphnoideae, Thymelaeoideae)로 분류한 바 있다(Cronquist, 1981; Jung and Hong, 2003). 한국의 팥꽃나무과 분류군은 모두 Thymelaeoideae에 속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팥꽃나무속(Daphne)은 아마풀속(Diarthron) 1종, 삼지닥나무속(Edgeworthia) 1종, 피뿌리속(Stellera) 1종, 산닥나무속(Wikstroemia) 2종으로 총 5속 9종이 확인되었다(Jung and Hong, 2003; Korea Forest Service and National Arboretum, 2015). 그중 산닥나무속은 산닥나무와 거문도닥나무 2종으로 여수, 고흥, 거문도, 남해, 마산, 부산 등 대부분 남부 해안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Hong et al., 1999; Korea Forest Service and National Arboretum, 2015).

거문도닥나무 자생지의 생육환경은 해발 28~242 m의 비교적 낮은 산지의 가장자리로 대부분 북동사면과 남동사면과 경사도는 0~40에 위치하며, 양지에서 잘 자라는 양수성 식물이다. 또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토성이 사양토이며, 토양산도는 pH 4.7 ~ 6.0 범위로 평균 pH 5.5의 약산성으로 확인되어 우리나라 산림토양 평균인 pH 5.5(Jeong et al, 2002)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Yoon et al., 2017). 특히, 거문도닥나무는 희귀식물로 임도 가장자리, 등산로 주변으로 많이 분포하여 답압, 인위적 훼손에 노출이 되어있으며, 아름답고 은은한 향기를 지닌 꽃이 많이 달려 관상가치가 높아 무분별한 남획에 의한 훼손이 일어나기 쉬어 종자 및 생체를 이용한 현지내외 보전이 필요하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지금까지 거문도닥나무 관련 연구는 계통분류학적 연구(Hong et al., 1999; Jung, 2003; Jung and Hong, 2003), 자생지의 환경특성(Yoon et al., 2017) 등이 진행되었으나 희귀식물인 거문도닥나무의 효과적인 현지내외 보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거문도닥나무 개체의 번식을 통한 증식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희귀식물인 거문도닥나무를 대상으로 종자 및 삽목번식을 통하여 효율적인 번식방법을 규명하고, 거문도닥나무의 보전 및 복원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공시재료

거문도닥나무의 번식에 대한 연구를 위해 울산, 부산, 고흥 자생지의 개체를 사용하였다(Fig. 1). 종자는 완전히 성숙한 2016년 9월 ~ 10월에 채취하였으며, 삽수는 2016년 7월, 9월, 2017년 7월에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삽목 용토는 모래, 마사토, 버미큐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큐라이트 : 펄라이트(1:1)를 대상으로 삽목 실험을 통하여 삽목 효과가 가장 우수한 용토를 사용하였다. 번식학적 연구는 경상북도 경산시 소재의 영남대학교 및 농장에서 수행되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0-033-04/N0820330410/images/kjpr_33_04_10_F1.jpg
Fig. 1.

The location map of studied plots.

종자번식

실내 번식은 거문도닥나무의 종자의 과피를 제거하여 습윤 저장(4℃), 저온저장(4℃), 실온저장(10℃ ~ 20℃)을 한 종자를 대상으로 항온(20℃, 25℃)에서 실험하였다. 또한, 실온에서 저장한 종자를 대상으로 변온 실험도 병행하였다. 변온 실험은 15/6℃, 20/10℃, 25/15℃ 로 하루 중 12시간씩 온도를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종자는 30 립씩을 3 반복으로 진행하였으며, Petridish에 여과지 2매를 깔고 배지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증류수를 보충해 주었다. 실생 번식은 온실에서 노천매장, 항온(5℃), 실온(외부), 상온(10 ~ 20℃)의 저장방법에 따라 2017년 4월 3일부터 2017년 5월 25일까지 번식 실험을 하였다. 노천매장은 11월에 40 ㎝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망에 마사토와 함께 넣어 야외에 묻어 저장하였다. 종자는 25 립씩 2 반복으로 플라스틱제의 삽목 상자에 원예용 상토(제올라이트 5%, 피트모스 15%, 질석 9.5%, 펄라이트 10%, 코코피트 60%, 비료 0.4%, 유카 추출액 0.1%)에 파종하였다. 온·습도 데이터 로거(HOBO)를 설치하여 온・습도를 측정하였으며, 종자의 외부형태 및 발아 모습은 HIROX Digital microscope KH-8700 현미경을 사용하였다.

삽목번식

삽목 실험을 위한 삽수는 길이 6 ~ 8 ㎝ 길이로 절단하고, 잎은 4 ~ 5장 남겨, 45로 비스듬하게 절단하였다. 토양조건에 따른 삽목번식은 녹지 및 숙지를 대상으로 10개씩 3 반복을 하였으며, 이후 삽목이 잘되는 용토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삽목은 숙지 5개씩 3 반복, 녹지부분(중간 부분, 아랫부분) 10개씩 3 반복을 하였으며, 생장조절물질인 NAA 100 ppm, NAA 500 ppm, NAA 1000 ppm, NAA 2000 ppm, IBA 100 ppm, IBA 500 ppm, IBA 1000 ppm, IBA 2000 ppm, 무 처리구 등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생장조절물질은 30분 간 침지하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완전임의 배치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번식 특성은 SPSS (var.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처리구에 의한 종속변수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성이 있는 경우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2차 검증을 하였다.

결과 및 고찰

종자번식

실내번식

항온 실험은 습윤 저장(4℃), 저온저장(4℃), 실온 저장(10 ∼ 25℃)을 한 충실 종자를 대상으로 자엽이 형성되는 개체에 대하여 발아율을 조사하였다(Table 1, Fig 2). 발아율(F값 26.121, 유의확률 0.000)은 유의성이 있으며, 저온습윤 저장 종자가 항온 20℃에서 57.8%로 가장 높았고, 실온에 저장한 종자가 5.6%로 발아율이 가장 낮았다. 이는 Park et al. (1994)의 팥꽃나무 발아실험에서 20℃에서 최대 75%의 발아율을 보인 결과와 유사하였다. 변온처리는 실온에서 저장한 종자를 대상으로 각각 12시간씩 15℃/6℃, 20℃/10℃, 25℃/15℃ 변온처리를 하여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실온 25℃/15℃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거문도닥나무의 실내 번식은 습윤 저장 후 항온 20℃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온 및 저온 등의 저장 종자의 발아율은 낮지만 모든 실험구에서 발아하여 종자의 온도에 대한 휴면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

Germination based on storage method and temperature

Storage method Temperature No. Germination rate (%)z
Wetting (4℃) 20℃ 90 57.8a
25℃ 90 37.8b
Low temperature (4℃) 20℃ 90 12.2c
25℃ 90 11.1c
Room temperature (10-25℃) 20℃ 90 5.6c
25℃ 90 8.9c
15℃/6℃ 90 6.7c
20℃/10℃ 90 6.7c
25℃/15℃ 90 7.8c

z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t at P=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 b, c.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0-033-04/N0820330410/images/kjpr_33_04_10_F2.jpg
Fig. 2.

The pictures of seed and germination.

실생번식

실생 번식은 노천매장, 항온 저장, 실온(외부온도) 저장한 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Table 2, Fig 3). 발아율은 F값 16.491, 유의확률 0.000로 유의성이 있었다. 발아율은 노천매장 종자가 100%, 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온(60%, 64%)과 항온(36%, 54%)에서 저장한 종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천매장의 경우 과피가 있는 상태의 종자가 발아율이 높았으며, 항온과 실온 저장은 과피가 제거된 종자에서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다.

Table 2.

Seed propagation through seed treatment and storage method

Storage methods Seedcase treatment No. Weight (g) No. of Germination (%)
Open-field during winter Include (A) 50 0.0056 50(100)az
Remove (B) 50 0.0046 46(92)a
Homoiothermic (5℃) Include (C) 50 0.0057 18(36)c
Remove (D) 50 0.0045 27(54)b
Outside temperature Include (E) 50 0.0058 30(60)b
Remove (F) 50 0.0044 32(64)b

z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t at P=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 b, c.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0-033-04/N0820330410/images/kjpr_33_04_10_F3.jpg
Fig. 3.

Daily conditions for germination of seed propagation. *A: Open-field during winter Include, B: Open-field during winter Remove, C: Homoiothermic Include, D: Homoiothermic Remove, E: Outside temperature Include, F: Outside temperature Remove.

노천매장의 종자발아는 발아가 시작되는 4월 26일의 평균온도는 13.4℃이며, 발아수가 증가하는 5월 4일의 평균온도는 17.2℃, 발아수가 최고조에 이르는 5월 6일의 평균온도는 21.1℃로 확인되었다. 발아가 진행 중인 5월 4일에서 5월 11일까지 평균온도는 19.2℃로 나타났다.

항온과 실온에서 저장한 종자발아의 경우 5월 15일의 평균온도는 22.2℃로 확인되었으며, 발아가 진행 중인 5월 15일에서 5월 23일까지 평균온도는 19.9℃로 나타났다. 이는 Park et al. (1994)의 연구에서 팥꽃나무의 경우 20℃에서 최대 75%의 발아율을 보이는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천매장을 한 종자와 항온 및 실온 처리를 한 종자의 경우 발아시기의 차이는 수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실생 번식에 있어서 거문도닥나무는 노천매장을 한 종자가 가장 효율적인 번식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삽목번식

관수시설에 따른 삽목번식

가온하지 않는 온실과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의 발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녹지 삽목 및 숙지 삽목을 실험한 결과 캘러스 형성(F값 2.831, 유의확률 0.018), 뿌리 수(F값 2.126, 유의확률 0.065), 뿌리 길이(F값 2.203, 유의확률 0.057)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녹지 삽목은 온실에서는 녹지의 중간 부분에서는 캘러스만 형성이 되었고, 녹지의 아랫부분에서 6.67%의 발근율을 보였다. 미스트관수 비닐하우스에서는 녹지의 중간 부분에서 10.0%, 녹지의 아랫부분에서 10.0%가 발근 하였다. 숙지 삽목은 모두 발근 하지 않았으며, 뿌리 수와 뿌리 길이가 각각 5개, 112.6 ㎜로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월등히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에, 거문도닥나무의 삽목은 습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Cutting of softwood and hardwood based on Irrigation facilities

System Cutting position No. No. of callus
(%)
No. of rooting
(%)
No. of roots Root length
(㎜)
Greenhouse Softwood MP 30 12(40.0)abz 0(0.0) 0by 0by
LP 30 6(20.0)b 2(6.67) 1b 21.5b
Hardwood 30 6(20.0)b 0(0.0) 0b 0b
Vinyl house
(mist irrigation)
Softwood MP 30 16(53.3)a 3(10.0) 2ab 36.6ab
LP 30 6(20.0)b 3(10.0) 5a 112.6a
Hardwood 15 4(26.6)b 0(0.0) 0b 0b

z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t at P=0.05
y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t at P=0.1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 b.

전처리에 따른 삽목번식

전처리에 따른 녹지삽목은 미스트관수 비닐하우스에서 거문도닥나무의 중간 부분, 아랫 부분을 대상으로 삽목을 실험한 결과 캘러스 형성률(F값 7.612, 유의확률 0.000), 발근율(F값 5.651, 유의확률 0.000), 뿌리 수(F값 5.333, 유의확률 0.000), 뿌리 길이(F값 4.893, 유의확률 0.000)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Table 4, Fig. 4). 중간 부분의 삽목 실험에서 캘러스 형성률은 NAA 100 ppm이 93.3%로 가장 높았으며, Control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발근율은 IBA 500 ppm이 66.7%, NAA 2000 ppm과 IBA 1000 ppm이 40.0% 순으로 가장 높았고, NAA 100 ppm이 6.7%로 가장 낮았다. 평균 뿌리 수는 NAA 2000 ppm에서 11.5개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뿌리 길이는 IBA 500 ppm이 69.6 ㎜, IBA 1000 ppm이 68.0 ㎜로 가장 길었다. 아랫부분의 삽목 실험에서 캘러스 형성률은 NAA 100 ppm, NAA 1000 ppm이 63.3%로 가장 높았으며, Control과 IBA 2000 ppm에서 20.0%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발근율은 NAA 2000 ppm이 50.0%, IBA 500 ppm이 40.0% 순으로 가장 높았으며, NAA 500 ppm 3.3%로 가장 낮았다. 평균 뿌리 수는 아랫부분의 NAA 2000 ppm이 4.6개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뿌리 길이는 IBA 500에서 46.4 ㎜로 가장 길었다. 특히 NAA 및 IBA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절단면과 삽목 줄기에서 함께 발근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녹지 삽목은 평균 발근율이 23.7%로 저조하였으며, 녹지 삽목은 IBA 500 ppm, IBA 1000 ppm, NAA 2000 ppm에서 발근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녹지 삽목의 아랫부분보다 중간 부분이 삽목번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Cutting of softwood based on preprocessing

Part Treatment No. No. of callus (%) No. of rooting (%) No. of roots Root length (㎜)
MPz Control 30 16(53.3)cdefy 3(10.0)dy 0.2dy 3.7dy
NAA 100 ppm 30 28(93.3)a 2(6.7)d 0.1d 3.8d
NAA 500 ppm 30 24(80.0)bac 3(10.0)d 0.4d 5.9d
NAA 1000 ppm 30 25(83.3)ab 5(16.7)cd 1.0cd 6.2d
NAA 2000 ppm 30 23(76.7)abcd 12(40.0)bc 4.6a 26.8bc
IBA 100 ppm 30 20(66.7)bcd 7(23.3)cd 0.3d 9.6cd
IBA 500 ppm 30 25(83.3)ab 20(66.7)a 2.7abc 46.4a
IBA 1000 ppm 30 16(53.3)cdef 12(40.0)bc 2.7abc 27.2bc
IBA 2000 ppm 30 10(33.3)fg 5(16.7)cd 1.6bcd 6.6d
LPz Control 30 6(20.0)g 3(10.0)d 0.5d 11.3cd
NAA 100 ppm 30 19(63.3)bcd 4(13.3)d 0.1d 6.5d
NAA 500 ppm 30 7(23.3)g 2(6.7)d 0.0d 1.0d
NAA 1000 ppm 30 19(63.3)bcd 6(20.0)cd 0.3d 4.3d
NAA 2000 ppm 30 16(53.3)cdef 15(50.0)ab 4.6a 32.2ab
IBA 100 ppm 30 15(50.0)def 3(10.0)d 0.1d 6.6d
IBA 500 ppm 30 15(50.0)def 12(40.0)bc 1.7bcd 18.8bcd
IBA 1000 ppm 30 11(36.7)efg 8(26.7)cd 2.2bcd 25.9bc
IBA 2000 ppm 30 6(20.0)g 6(20.0)cd 3.2ab 14.9bcd

zMP: Middle part, LP: Lower par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 b, c, d, e, f, g.
y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t at P=0.05.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0-033-04/N0820330410/images/kjpr_33_04_10_F4.jpg
Fig. 4.

Rooting of based on preprocessing.

전처리에 따른 숙지 삽목은 뿌리수와 뿌리 길이에 발근한 개체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뿌리 수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5). 캘러스 형성률은 NAA 500 ppm이 8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AA 2000 ppm에서 13.3%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발근율은 NAA 1000 ppm이 2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무 처리구와 NAA 100 ppm이 0.0%로 가장 낮았다. 평균 뿌리 수의 경우 IBA 1000 ppm에서 2.7개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뿌리 길이는 IBA 1000 ppm이 18.5 ㎜로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숙지 삽목은 평균 발근율이 11.9%로 저조하였다. 이는 거문도닥나무의 경우 숙지 부분의 잎이 거의 없으며, 잎이 있는 경우 삽목 후 잎이 조기에 떨어져 삽목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Cutting of hardwood based on preprocessing

Treatment No No. of callus (%) No. of rooting (%) No. of roots Root length (㎜)
Control 15 4(26.7) 0(0.0) 0.0bz 0.0
NAA 100 ppm 15 5(33.3) 0(0.0) 0.0b 0.0
NAA 500 ppm 15 12(80.0) 2(13.3) 0.2b 3.8
NAA 1000 ppm 15 4(26.7) 4(26.7) 0.7b 8.6
NAA 2000 ppm 15 2(13.3) 1(6.7) 0.1b 1.7
IBA 100 ppm 15 4(26.7) 2(13.3) 0.1b 4.0
IBA 500 ppm 15 3(20.0) 1(6.7) 0.1b 2.0
IBA 1000 ppm 15 4(26.7) 3(20.0) 2.7a 18.5
IBA 2000 ppm 15 4(26.7) 3(20.0) 1.3ab 10.5

z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t at P=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 b.

적요

본 연구는 희귀 식물인 거문도닥나무를 대상으로 종자 및 삽목번식을 통하여 효율적인 번식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종자번식은 실내, 실생 번식 모두 발아율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저장 종자는 저온 습윤의 경우 항온 20℃ 효과를 보였으며, 변온 처리에서는 발아율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종자 번식에서 거문도닥나무는 습윤 저장 후 항온 20℃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실생 번식은 노천매장에서 종자를 번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삽목번식의 관수시설에 따라 캘러스 형성, 뿌리 수 등 발근율을 확인한 결과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녹지의 중간, 아랫부분에서 10.0%가 발근 하였고, 숙지 삽목은 모두 발근 하지 않았다. 특히, 뿌리 수와 뿌리 길이가 각각 5개, 112.6 ㎜로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월등히 높은 결과를 보여 거문도닥나무 삽목은 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처리에 따른 녹지 삽목은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거문도닥나무의 중간 부분, 아랫부분을 대상으로 삽목을 실험한 결과 캘러스 형성률, 발근율, 뿌리 수, 뿌리 길이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녹지 삽목은 평균 발근율이 23.7%로 저조하였으며, IBA 500 ppm, IBA 1000 ppm, NAA 2000 ppm에서 발근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녹지 삽목의 아랫부분보다 중간 부분이 삽목번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숙지 삽목은 평균 발근율이 11.9%로 녹지 삽목에 비해 저조하였는데 이는 숙지 부분의 잎이 거의 없으며, 잎이 있는 때는 조기에 떨어져 삽목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Cronquist, A. 1981. An Inter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pp. 1-57.
2
Domke, W. 1934. Untersuchungen über die systematische und geographische gliederung der Thymelaeaceen nebst einer neubeschreibung-ihrer gattung. Biblioth. Bot. 27. 111:1-151.
3
Falk, D.A and P. Olwell. 1992. Scientific and policy conservations on reintroduction of endangered species. Rhodora 94(879):287-315.
4
Hong, H.H., H.T. Lim and S.G. Hong. 1999. One species of Korean Wikstroemia (Thymelaeaceae): W. ganpi (Sieb. et Zucc.) Maxim, Korea J. Plant Taxonomy Res. 29(4):391-396 (in Korean).
10.11110/kjpt.1999.29.4.391
5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 Korean Soc. For. Sci.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ung, E.H. 2003. Systematic studies of thymelaeaceae in Korea.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pp. 1-62 (in Korean).
7
Jung, E.H. and S.P. Hong. 2003.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in Korean Thymelaeaceae Adans. Korea J. Plant Taxonomy Res. 33(4):421-433 (in Korean).
10.11110/kjpt.2003.33.4.421
8
Kim, C.S., J.M. Kim, J.J. Ryu, S. Choi, Y.G. Choi, H.B. Park, J.M. Park and M.S. Beon. 2002.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e genkwa community in Byunsanbando. J.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Res. 43(6):777-781 (in Korean).
9
Kim, E.H. 2007.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ontice microrhyncha community in Mt. Jumbong. Department of Life Sciences and Environmental Biology,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Korea. pp. 1-65 (in Korean).
10
Kim, H.J. 2009. Conservation biology of Wikstroemia trichotoma community, Department of Forest, Ph.D.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1-116 (in Korean).
11
Korea Forest Service and National Arboretum. 2015. http://www.nature. go.kr.
12
Lee, S.H., M.H. Yeon and J.K. Shim. 2011. Habitat and distribution feature of endangered species Leontice microrhyncha S. Moore. Korean J. Environment and Ecology Res. 25(6):819-827 (in Korean).
13
Naeem, S.L., J. Thompson, S.P. Lawler, J.H. Lawton and R.M. Woodfin. 1994. Declining biodiversity can alter the performance of ecosystems. Nature 368:734-737.
10.1038/368734a0
14
Park, R.B., C.S. Kim, S.Y. Park and S.G. Jin. 1994.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ed propagation in Daphne genkwa. J. Flower Res. 12(2):194-195 (in Korean).
15
USAID. 1992. Tropical forestry and biological diversity. USAID Report to Congress (1990-1991). Washington, D.C. pp. 1-79.
16
Wolfe, S.C. 1987. On the brink extinction; Conserving the diversity of life. World watch paper 78. World watch Institute, Washington, D.C. pp. 1-59 (in Korean).
17
Yeoung, Y.R., M.H. Lee, B.S. Kim, H.K. Kim and J.H. Kim. 2001. Seed germination and softwood cutting technique of Kalopanax pictus Nakai. Korean J Plant Res. 14(1):53-59.
18
Yoon, J.W., M.H. Yi and Y.S. Kim. 2017.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ive habitats of Wikstroemia ganpi (Sieb. et Zucc.) Maxim. Korea J. Environ. Ecol. 28(3):331-341 (in Korean).
10.13047/KJEE.2014.28.3.33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